저에게 필요한 주요부만 일부 발췌합니다. ^^
것 뿐. 아무리 법제처 검색란에 방재실을 써넣어도 검색이 안된 이유.
을 설치해 놓고 감시하기 위한 방....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말그대로 화재
시 등 위험상황에서 컨트롤 기지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특히 "소방설비수신기"라는 말에서
알수 있듯이 화재시 그 역할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고, 소화설비(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
관리에 관한법률 시행령 별표1에 소화설비 부분 참고)인 옥내소화전 의 제어반(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으로 나뉜다.)중 감시제어반의 경우 별도의 실로 구획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별도의 감시제어반이 구획된 실이 흔히 말하는 방재실이 되는 것이다.
화재안전기준(NSFC)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2)로 고시.
2016.07.21.(목) 추가~
가끔.. 전혀 엉뚱한 곳에서 답을 찾을 때가 있죠.
오늘도 그러하네요.
펌글에 보면
"방재실"은 법정 용어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방재실을 정의하는 법조문을 찾았네요. 물론 '기술기준'이라서 애매합니다만..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산자원부 고시
제3조(용어정의) 제18항 "방재실"이란 단지 내 방법, 방재, 안전 등을 위한 설비를 설치하는 공간을 말한다.
물론 펌글의 정의가 더 정확하게 기술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위 기술고시의 정의는 상당히 광범위한 개념의 단어를 사용하여 정의를 했기 때문이지요. 기술고시 제23조(방재실) 에 보면, 방재실의 설치기준 등이 기술되어 있지만 정확히 어떤 장비를 갖춰야 방재실인가 하는 내용은 없습니다. 각종 장비들을 방재실에 설치할 수 있다고 나열하고 있지만, 정작 방재실의 필수기능 내지 핵심장비는 무엇이다 라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어쨌거나, 눈부신 네트워크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펌글의 방재실 처럼 달랑 "감시제어반이 있는 별도의 구획된 실"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네요.
전기설계 사무소에서도 예전처럼 4~5㎡ 정도의 작은 실이 아니라, 18~25㎡ 정도의 큰 실을 요청합니다.
(그만큼 많은 공간 안에 각종 장비들이 들어가고, 건물 전체와 연결되는 케이블 등이 복잡하네요.)
건축계획 시 가장 늦게 검토하여 구석에 작게 만들어주던 게 방재실이었는데, 이젠 최우선적으로 검토되는 실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글] 농지전용에 대하여.. (0) | 2012.02.08 |
---|---|
건축허가 시 근저당, 가압류, 지상권 설정 (0) | 2011.12.16 |
동결선에 대하여 알려주마! 국토해양부 질의회신 내용 (3) | 2011.11.23 |
형강 치수 정리 <현대제철 참조> (0) | 2011.07.04 |
관계전문기술자와의 협력 (0) | 2011.03.22 |
WRITTEN BY
- archjang
일단.. 만들면서 생각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