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40 : HD
SD50 : SHD
SD60 : UHD
D - Deformed-bar 이형철근
HD - High-tension Deformed-bar 고강도 철근 (항복강도 400MPa)
SHD - Super High-tension Deformed-bar 초고강도 철근 (항복강도 500MPa)
UHD - Ultra High-tension Deformed-bar 초초고강도 철근 (항복강도 600MPa)
가끔 철근 관련하여 검토하다 보면 'UHD' 라는 단어가 보입니다.
음... 늘 그렇지만 알고 보면 별거 아닌데 말이죠. ^^
http://www.ihksm.co.kr/sub03/01_01.php
철근이란?
철근은 철로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져 주로 인장력을 맡는 건설재료로 토목공학,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의 하나입니다.
보통 재료는 탄소강이며, 따로 쓰기보다는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 집니다.
철근의 모양
모양과 용도에 따라 이형철근과 원형철근으로나누고 규격은 공칭 지름으로 구분해서 표시합니다.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
표면에 리브 도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
롤링마크(Rolling Mark)
철근의 종류
종 류 | 기 호 | 용 도 |
일 반 | SD300 | 마일드-바 로 불리며 주로 토목현장의 교량, 댐 등의 사용 |
고장력 | SD400 | 하이-바 로 불리며 건설 및 토목현장 널리 사용 |
초고장력 | SD500, SD600, SD700 | 초고층 건물 지하현장에 사용되며 요즘은 점점 초고강도로 설계되고 있는 추세 |
용 접 | SD400W, SD500W | 탄소성분을 낮춰 용접성 필요한 구조물이 사용 |
내 진 | SD400S, SD500S, SD600S |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등급에 따라 사용이 확대 중 |
나 사 | 형상에 따름 | 체결볼트로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형태로 만듦 |
해양구조물 등에서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도막 철근이나 아년 도급 철근, 스테인리스로 철근을 쓰기도 합니다.
제품 강종 및 호칭 규격
KS D 3504 규격에 의거
규격 | 강종 | SD 300 |
SD 400 |
SD 500 |
SD 600 |
SD 700 |
SD 400W |
SD 500W |
SD 400S |
SD 500S |
SD 600S |
|
화학성분(%) | C | 0.22이하 | 0.29 이하 |
0.32 이하 |
0.37 이하 |
|||||||
Si | 0.30이하 | 0.30이하 | ||||||||||
Mn | 1.60이하 | 1.50 이하 |
1.80이하 | |||||||||
P | 0.0500↓ | 0.045↓ | 0.040이하 | 0.040이하 | 0.040이하 | |||||||
S | 0.050↓ | 0.045↓ | 0.040이하 | 0.040이하 | 0.040이하 | |||||||
Cu | 0.20이상 | |||||||||||
N | 0.012이하 | |||||||||||
Ceq | 0.63이하 | 0.50이하 | 0.55 이하 |
0.60 이하 |
0.67 이하 |
|||||||
(탄소당량) | Ceq = C + Mn/6 + (Cr+V+Mo)/5 + (Cu+Ni)/15 | |||||||||||
기계적 성질 | 항복강도 (N/㎟) |
상한 | 300 | 400 | 500 | 600 | 700 | 400 | 500 | 400 | 500 | 600 |
하한 | 420 | 520 | 650 | 780 | 910 | 520 | 650 | 520 | 620 | 720 | ||
인장강도 | 항복강도의 | 1.15배이상 | 1.08배이상 | 1.15배이상 | 1.25배이상 | |||||||
연신율(%) | 2호시편 | 16이상 | 12 이상 |
10이상 | 16 이상 |
12 이상 |
16이상 | 12이상 | 10이상 | |||
3호시편 | 18이상 | 14 이상 |
18 이상 |
14 이상 |
18이상 | 14이상 | ||||||
굽힘성 | 굽힘각도 | 180° | 90° | 180° | 180° | 90° | ||||||
안쪽 반지름 |
D16이하 | 1.5배 | ||||||||||
D16초과 | 2배 | |||||||||||
D25이하 | 2.5배 | 2.5배 | 2.5배 | 2.5배 | 2.5배 | 2.5배 | 2.5배 | 2.5배 | 2.5배 | |||
D25이상 | 3배 | 3배 | 3배 | 3배 | 3배 | 3배 | ||||||
표시 | 제품 검사표 |
색상 | 녹색 | 황색 | 흑색 | 회색 | 하늘색 | 백색 | 분홍색 | 보라색 | 적색 | 청색 |
강종 마킹 | (숫자) | 없음 | 4 | 5 | 6 | 7 | • 4 | • 5 | 4S | 5S | 6S | |
묶음 표시 | 제품 검사표(태그) 부착 |
표준번호 KS D 3504
표준명(한글)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표준명(영문)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KS원문보기 링크 입니다.
https://e-ks.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72059224511891272
'PM & CM > C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사업관리 계약방식 중,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시공책임형 CM, CM at Risk)에 대해 서술하시오 (0) | 2020.01.11 |
---|
WRITTEN BY
- archjang
일단.. 만들면서 생각해보자. ^^